가장 많은 발병률을 보이는 컴퓨터 병입니다.
1)반복성 2)지속적인 힘 3)휴식의 부족 4)나쁜 작업자세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나쁜 자세로 몸이 굳은 상태(긴장하거나,정신적으로 스트레스가 심한 상태)에서 장시간동안 같 은 동작을 반복해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잘 생깁니다.
컴퓨터 업무가 이런 경향이 강한 업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처음에는 목이나 어깨가 뻐근하게 느껴지고 일할 때만 아프다가, 나중에는 쿡쿡 쑤시고 통증이 심해지며,가만히 있어도 아프게 되는 증상을 보입니다. 심한 경우는 잠을 못 잘 정도의 날카로운 통증이 오기도 합니다.
통증의 특징으로는 원래 부위 뿐 아니라 다른 곳으로도 뻗친다는 것과 통증이 특히 심한 특정 부위가 있다 는 것입니다. 통증이 심한 부위를 압통점이라 부르는데 지속적으로 긴장하던 근육이 손상되어 생기는 덩어리 같은 것입니다.
일단 생기면 없어지기가 어렵기 때문에 증상이 잘 좋아지지 않습니다. 치료는 이 압통점에 주사 를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 방법입니다.
그 다음은 이 부위에 초음파 물리치료로 문질러 압통점을 없애 준다 든지, 수지 압박(손가락 끝으로 압통점이 있는 부위를 압박하여 허혈성 변화를 유도하여 압통점을 없애는 방 법)을 한다든지 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혼자서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해당 근육을 스트레칭 시켜 주는 것입니다.
컴퓨터자판을 치기 위해서는 어깨근육이 어느 정도는 항상 긴장하고 있어야 하는데, 컴퓨터 자판의 높이가 높으면 어깨근육의 긴장도가 심해져서 더 나쁩니다. 자판의 높이는 팔과 지면이 수평이 되도록 높이를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
의자의 팔걸이를 사용할 수 있으면 더욱 좋습니다. 또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깨근육의 신전운동 이 중요합니다. 즉 가끔씩 어깨근육을 스트레칭 시켜주는것이 이 병을 예방하는데 대단히 좋습니다.
근막통 증후군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목 디스크, 어깨관절염 건초염 등이 생길 수 있으며 손목터널 증후군이 지속되면 손가락이 마비되거나 수술을 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한 경우는 손가락의 장애도 남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종합적인 컴퓨터 병 예방법
1. 컴퓨터화면을 15도 정도 내려다보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컴퓨터화면과의 적당한 거리는 30-70cm 사이가 좋습니다.
목을 앞으로 내미는 자세가 특히 좋지 않은데 목을 앞으로 내밀게 되면 목 근육이 상당히 긴장하게 되고 이것이 바로 근막통 증후군의 원인이 됩니다.
2. 자판의 높이는 팔과 지면이 수평이 되도록 높이를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피아노 칠때의 손모양 같이 손목과 손바닥이 수평을 이루는 것이 좋습니다.의자의 팔걸이를 사용하여 팔을 이완시킬수 있으면 더욱 좋습니다. 의자의 높이는 발바닥 전체가 자연스럽게 땅바닥에 닫는 정도가 좋습니다. 이때무릎은 90-100도 정도 굴곡되는 높이가 적당합니다.
3. 마우스는 동일한 장소에서만 사용하지 말고 위치를 자주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4. 목, 어깨근육의 신전운동(근육을 늘여주는 운동)을 통해 가끔씩 어깨근육을 스트레칭 시켜주어야 합니다.
5. 한 시간에 10분씩 손목을 휴식하고, 손 마사지를 자주 해야 합니다.
한강성심병원 재활의학과
장기언
컴퓨터 업무가 이런 경향이 강한 업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처음에는 목이나 어깨가 뻐근하게 느껴지고 일할 때만 아프다가, 나중에는 쿡쿡 쑤시고 통증이 심해지며,가만히 있어도 아프게 되는 증상을 보입니다. 심한 경우는 잠을 못 잘 정도의 날카로운 통증이 오기도 합니다.
통증의 특징으로는 원래 부위 뿐 아니라 다른 곳으로도 뻗친다는 것과 통증이 특히 심한 특정 부위가 있다 는 것입니다. 통증이 심한 부위를 압통점이라 부르는데 지속적으로 긴장하던 근육이 손상되어 생기는 덩어리 같은 것입니다.
일단 생기면 없어지기가 어렵기 때문에 증상이 잘 좋아지지 않습니다. 치료는 이 압통점에 주사 를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 방법입니다.
그 다음은 이 부위에 초음파 물리치료로 문질러 압통점을 없애 준다 든지, 수지 압박(손가락 끝으로 압통점이 있는 부위를 압박하여 허혈성 변화를 유도하여 압통점을 없애는 방 법)을 한다든지 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혼자서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해당 근육을 스트레칭 시켜 주는 것입니다.
컴퓨터자판을 치기 위해서는 어깨근육이 어느 정도는 항상 긴장하고 있어야 하는데, 컴퓨터 자판의 높이가 높으면 어깨근육의 긴장도가 심해져서 더 나쁩니다. 자판의 높이는 팔과 지면이 수평이 되도록 높이를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
의자의 팔걸이를 사용할 수 있으면 더욱 좋습니다. 또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깨근육의 신전운동 이 중요합니다. 즉 가끔씩 어깨근육을 스트레칭 시켜주는것이 이 병을 예방하는데 대단히 좋습니다.
근막통 증후군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목 디스크, 어깨관절염 건초염 등이 생길 수 있으며 손목터널 증후군이 지속되면 손가락이 마비되거나 수술을 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한 경우는 손가락의 장애도 남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종합적인 컴퓨터 병 예방법
1. 컴퓨터화면을 15도 정도 내려다보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컴퓨터화면과의 적당한 거리는 30-70cm 사이가 좋습니다. 목을 앞으로 내미는 자세가 특히 좋지 않은데 목을 앞으로 내밀게 되면 목 근육이 상당히 긴장하게 되고 이것이 바로 근막통 증후군의 원인이 됩니다.
2. 자판의 높이는 팔과 지면이 수평이 되도록 높이를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피아노 칠때의 손모양 같이 손목과 손바닥이 수평을 이루는 것이 좋습니다.의자의 팔걸이를 사용하여 팔을 이완시킬수 있으면 더욱 좋습니다. 의자의 높이는 발바닥 전체가 자연스럽게 땅바닥에 닫는 정도가 좋습니다. 이때무릎은 90-100도 정도 굴곡되는 높이가 적당합니다.
3. 마우스는 동일한 장소에서만 사용하지 말고 위치를 자주 바꿔주는 것이 좋습니다.
4. 목, 어깨근육의 신전운동(근육을 늘여주는 운동)을 통해 가끔씩 어깨근육을 스트레칭 시켜주어야 합니다.
5. 한 시간에 10분씩 손목을 휴식하고, 손 마사지를 자주 해야 합니다.
한강성심병원 재활의학과 장기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