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의
- 진정제와 마취제 등을 투여하여 가수면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내시경검사를 시행하며 환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고 검사를
마치는 방법입니다.
내시경검사로 고통을 경험했던 분이나 주변에서 내시경검사가 고통스럽다는 이야기를 듣고 내시경 검사를 꺼려하는 분들
에게는 좋은 검사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어떻게 하나요?
- 환자분은 금식을 하고 오시기만 하면되고 수면을 취하는 동안 본인도 모르게 검사가 끝납니다. 대개 내시경검사가 끝난
후 5~10분이내에 환자분은 잠에서 깨어나게 되며 그 후 설명을 듣고 귀가하시면 됩니다.
- 주의점
- 되도록이면 보호자와 같이 오시는 것이 좋으며 차는 갖고 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내시경검사 후 약간의 진정 효과가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정의
- 위장관 출혈(위 · 대장 등)이 있거나, 용종이 있을때 수술하지 않고 지혈을 하거나 용종을 제거하는 시술들을 일컬어 치료
내시경이라고 합니다.
- 치료내시경에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 - 고온생검술
- 주로 5mm이하의 작은 용종을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열에 의한 괴사를 일으킴으로써 용종을 절제하는 방법입니다.
- - 용종절제술
- 올가미를 이용하여 용종의 기저부를 조인 후 고주파 전류를 통전해서 절제하는 방법입니다.
- -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 병변주위의 점막하층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병변을 부풀어 오르게 한 후 올가미를 씌워 정상점막까지 포함하여
절제하는 방법입니다.
- 내시경으로 위나 대장에서 출혈할 때 수술을 하지 않고 지혈을 한다는데 어떻게 하나요?
- 내시경적 지혈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 - 약물을 병변주위에 주사하거나 뿌려주는 방법

- - 전자파에 의한 지혈법
- 고주파를 이용하여 조직을 응고시킴으로써 지혈을 유도합니다.
- - 기계적 지혈법
- 고무밴드나 클립(Clip)을 사용하여 급성궤양, 식도정맥류등의 출혈시 지혈을 시킵니다.


- 환자들이 다음과 같이 호소할 때 대장내시경을 하게 됩니다.
- - 대장암 검사하고 싶어요.
- - 전에 용종이 있다고 했는데 어떻게 변했는지 궁금해요. 그리고, 되도록이면 용종을 제거하고 싶어요.
- - 대변에 피가 묻어나와요.
- - 빈혈이 있는데 원인을 잘 몰라요. 대변검사에서 잠혈반응이 양성이라고 그랬어요.
- - 변비, 설사가 자주 있고 복통이 재발해요.
- - 대장조영술 검사에서 이상이 있다고 해서 왔어요.
- 금식하고 왔는데 대장내시경을 오늘 바로 할 수 있나요?
- 어렵습니다. 대장은 평소에는 대변으로 차있기 때문에 반드시 대장 정결제를 미리 전날 복용하고 장을 깨끗이
비운 후 검사를 하게 됩니다.

- 알콜성 간질환
- 만성바이러스성 간염
- 간경변증의 개별상담 및 추적검사


- 폐렴, 폐결핵, 기관지확장증과 같은 감염성 질환과 폐기종, 만성기관지염과 같은 만성폐쇄성 질환, 기관지천식, 폐암, 늑막질환,
간질성 폐질환등 그 외에도 만성기침, 호흡곤란, 객혈 등의 원인 진단 및 치료를 위하여 객담검사, 흉부방사선 검사, 늑막천자 검사,
폐기능 검사, 동맥혈 검사, 흉부전산화단층 촬영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호흡기 치료 및 인공 호흡기 치료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심장질환은 주로 고혈압, 심부전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심장 판막증, 부정맥 등이 있으며 흉부방사선 촬영,
심전도 검사, 심장초음파검사 등을이용하여
진단하며 적절한 치료를 받을수 있습니다.
- 1. 심장 초음파
- 초음파로 고혈압성 심질환, 판막질환,
심혈관질환 등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다.
- 2. 심장혈관CT
- CT로 심혈관을 촬영하여 관상동맥질환을
진단할수 있습니다.

- 당뇨병 : 경구 당부하 검사
- 갱년기 호르몬 치료 : 폐경기 증후군
- 갑상선 기능 저하증
- 갑상선 기능 항진증
- 갑상선염
- 갑상선 결절
- 세포 흡인 검사
- 갑상선 초음파
- 골다공증 및 노년기 질환 : 골밀도 검사
- 당뇨질환, 갱년기 호르몬 치료(폐경기증후군), 갑상선 기능 저하증 및 항진증, 갑상선염, 갑상선결질(세포흡인검사, 갑상선초
음파등), 골다공증 및 노년기 질환(골밀도 검사), 만성 성인병 클리닉(고지혈증,비만클리닉)을 치료하실수 있습니다.

고지혈증, 비만 클리닉

소변검사(혈뇨, 단백뇨, 세균배양 검사 등), 신장 초음파 검사, 경정맥 신우촬영등을 이용해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